관련 동영상
"신군부 쿠데타를 막을 기회 무려 10번"
"신군부 쿠데타를 막을 기회 무려 10번"
영화 '서울의 봄'이 집중한 건 12·12 쿠데타 당시 가장 긴박했던 9시간. "어이없는 그날 밤 이야기". 김성수 감독의 말입니다. 쿠데타 세력이 총과 탱크를 앞세운 막강한 힘을 가진 자들이지만 그들의 행동과 판단은 '하찮은 수준'이었다는 걸 감독은 영화를 통해 보여주고 싶어 합니다.
전두광(전두환)이 이끈 신군부의 반란을 막을 기회가 10번 정도나 있었던 걸로 나옵니다. 그만큼 신군부의 반란 계획도 허술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를 막지 못했습니다. 분명한 건 많은 사람들이 12·12 사태를 안다고 생각하지만, 12·12의 모든 걸 알진 못한다는 점입니다. 이름조차 잘 알려지지 않은 희생도 많았지만 대부분 묻히거나 잊혀졌습니다. 이 가운데 영화 '서울의 봄'에서 짧게 나오지만 강렬하게 다룬 장면이 하나 있습니다.
쿠데타 세력에 홀로 맞선 김오랑 소령
13일 새벽 0시를 조금 넘긴 시각. 반란 세력에 넘어간 3공수여단 10여 명이 서울 송파구에 있는 특수전사령부 사령관실에 급습합니다. 일단 특전사령관을 회유하려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결국 사령관을 체포하려 했는데 주변 간부들은 이미 포섭된 상태였습니다. 유일하게 사령관을 지킨 이는 오진호 소령(극중 이름). 넷플릭스 디피(D.P)의 안준호 일병으로 열연한 배우 정해인이 맡았습니다. 그는 M16 소총으로 무장한 반란군 세력에 홀로 맞섰습니다. 그가 손에 쥔 건 권총 한 자루뿐. 결국 그는 현장에서 총을 맞고 전사합니다. 실제로는 가슴과 배에 반란군이 쏜 실탄 6발 정도를 맞았다는 증언이 있습니다.
그는 실존 인물입니다. 바로 김오랑 소령. 당시 체포 작전을 지시한 박종규 중령은 김오랑 소령과 같은 아파트에 살며 가족들과도 친하게 지낸 사이였습니다. 어느 편에 서느냐에 따라 운명이 갈린 두 가정사의 비극이었습니다. 박 중령은 이듬해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자 3공수여단 15대대장 신분으로 광주 현지에 급파돼 유혈 진압에 참여했던 인물이기도 합니다.
김충립 당시 특전사 보안반장은 13일 새벽 상황을 이렇게 증언했습니다. "김오랑 소령이 권총을 꺼내서 실탄을 장전하고 있길래, '왜 그래? 무슨 상황이야 물었더니?' '지금 보안사에서 우리 잡으러 옵니다' 그런 거야" "그래서 총을 안 가지면 살아 근데 총을 갖고 있으면 죽는다고 했지" 하지만 김 소령은 권총을 끝내 내려놓지 않고 특전사령관을 지키기 위해 사무실로 달려갔습니다. 결국 거기서 총상을 입고 전사했습니다. 김 반장은 "상황이 끝난 뒤 총을 맞아 찌그러진 반란군의 M16 세 정과 입구에서 피를 흘리며 숨진 김 소령을 발견했다"고 전했습니다. (참고: 2013년 5월 한겨레TV) 그때 김 소령의 나이는 36살-이었습니다.
김 소령 가족들의 비참한 삶…부인은 소송 진행하다 실종사
김 소령은 눈을 감은 뒤에도 수모를 겪어야 했습니다. 반란군은 그를 특전사 뒷산에 그냥 묻었다고 합니다. 이후 그의 시신은 국립서울현충원 유골 안치소에 보관되다가 1980년 2월이 되어서야 국립묘지에 정식 안장되었습니다. 그리고 10년 뒤 중령으로 추서되었습니다.
가족들의 불행이 이어졌습니다. 사건 이후 아내 백영옥 씨는 충격으로 시신경 마비가 되어 실명했습니다. 그럼에도 남편 사망에 대한 진실 규명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백 씨는 노태우 정권 때인 1990년 전두환, 노태우, 최세창, 박종규 등을 상대로 소송을 진행하다가 이듬해 부산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당시 경찰은 난간에서 떨어져 숨진 실족사로 결론지었습니다. 형 김태랑 씨는 "조용히 있었다, 가만히 있었다, 겁이 나서 혼자서 막 울고 그랬다"며 김 중령 사망 이후 상황을 이렇게 전했습니다. 동생의 행동과 죽음에 대해 한동안 입 밖으로 내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참고: 2013년 5월 한겨레TV)
경남 김해가 고향인 김 중령은 육사 25기로 소위 임관 이후 맹호부대 소속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특전사 3공수여단 중대장, 특전사 작전장교·정보장교, 그리고 특전사 5공수여단 중대장에 보임됐습니다. 그리고 12·12 쿠데타가 발생한 1979년에 특전사령관 비서실장으로 발탁됐습니다.
軍 "더 확인해야" 버티기…김성수 감독 "부끄러움 주고 싶었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 '김오랑 중령 무공훈장 추서 및 추모비 건립 결의안'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군은 버틸 때까지 버텼습니다. 당시 김관진 국방장관은 결의안에 대해 "(12·12 사건 관련) 대법원 판결은 존중하지만, 전투에 참가하거나 직접 지역에서 공격에 대응하는 등 전투에 준하는 직무 수행인지는 전문가 의견을 들어봐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사실상 반대 입장을 표명한 것입니다. 김 중령이 나온 육사도 "검토 중"이란 말을 반복했습니다.
이듬해 1월이 되어서야 국무회의에서 훈장을 추서하는 내용의 수여안이 의결됐습니다. 그리고 석 달 뒤 특전사는 김오랑 중령에 대한 훈장 전수식을 거행했습니다. 당시 국방일보는 '특전사는 고 김오랑 중령의 가족에게 최고의 예를 갖춘 공식 부대 행사로 훈장을 전수했다'고 홍보했습니다. 같은 해 6월 김오랑 중령 흉상은 그가 졸업한 김해 삼성초등학교 인근에 세워졌습니다. 추모비 뒤에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12월 12일 사태 때 상관을 지키고 군과 국가의 체제 수호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고 맹렬히 대항. 정의를 수호하다 장렬히 순직…"
이보다 훨씬 앞선 1997년 4월에 이미 전두환·노태우 등 신군부 세력은 12·12 군사 반란과 5·18 내란 주도 혐의 등으로 대법원에서 형을 확정받았습니다. 검찰의 첫 판단과 달리 '성공한 쿠데타도 처벌받는다'는 선례를 남겼습니다. 역사적으로는 물론 사법적 판단까지 이미 끝난 사안입니다. 이런데도 12·12 반란 주동자인 전두환 씨는 사망 전까지 단 한번도 사과한 적이 없었습니다.
김성수 감독은 자신의 영화를 통해 무엇을 보여주고 싶었을까요? "자신이 이겼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영화를 통해서나마 부끄러움을 주고 싶었어요" (지난 11월 17일 서울 메가박스 코엑스) 역사 흐름을 뒤로 돌린 쿠데타에 가담해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안고 있던 사람도 있겠지만 끝까지 자신은 잘못이 없다고 말한 이들도 적지 않습니다. 반란 이후 정권을 잡고 최고 권력에 가까워질수록 더욱 그랬습니다. 마치 영화 '서울의 봄'의 엔딩곡이 군가 '전선을 간다'인 것처럼…